수원형사전문변호사 ㅣ(고소)지속적인 스토킹을 피해를 입힌 가해자가 징역형을 받게끔 만든 사례
수원형사전문변호사가 정리한 사건요약
피고인은 의뢰인으로부터 결별통보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, 수십번의 텔레그램 메시지 및 적은 단위로 지속 계좌이체를 하는 등의 방법으로, 반복적으로 의뢰인의 공포심을 일으키는 스토킹 행위를 하였습니다.
이에 의뢰인은 스토킹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(스토킹범죄) 혐의로 고소를 진행하였습니다.
수원형사전문변호사가 정리한 사건개요
이 사건의 경우 피고인이 혐의에 대하여 부인하고 있었으며, 지속적인 범행으로 의뢰인의 정신적 충격과 고통이 상당한 사건이었습니다.
수원형사전문변호사가 알려주는 처벌기준
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제18조(스토킹범죄)
①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.
② 흉기 또는 그 밖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이용하여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.
수원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
조력사항 ① 피해자의 수치심과 고통을 명확히 입증한 대응
수원형사전문변호사는 구체적이고 반복적인 추행의 경위를 상세히 밝혔으며 피해자가 겪은 정신적 충격, 수치심, 향후 스토킹 및 성범죄의 트라우마로 제대로 된 사회생활을 할 수 없는 등을 진술과 증거로 입증하였습니다.
조력사항 ② 상해 부위·치료 기록·통원내역을 체계적으로 정리
수원형사전문변호사는 진단서 외에도 피해자의 통원 기록, 통증 일지, 치료비 납부 영수증 등 물증을 종합 제출하여 상해의 실체성과 지속성을 강조했습니다.
수원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결과
법원은 고소인의 진술과 수원형사전문변호사가 제출한 증거 일체를 신뢰하며 피고인의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혐의를 인정하며, 최종적으로 피고인에게 징역 2년,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및 스토킹 치료프로그램 각 40시간, 아동·청소년 관련 기관 취업제한 5년을 선고했습니다.


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?
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문의를 통해 전달해주세요.